정부, ‘원전해체산업’ 미래먹거리로 본격 육성한다 
정부, ‘원전해체산업’ 미래먹거리로 본격 육성한다 
  • 송정훈 전문기자
  • 승인 2019.04.17 14:17
  • 최종수정 2019.04.17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이 지난해 12월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 1호기 원전을 방문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이 지난해 12월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 1호기 원전을 방문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인포스탁데일리=송정훈 전문기자] 정부가 원자력발전 건설 관련 기업이 해체 분야로 사업을 전환해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열린 제13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 원전해체연구소 설립방안을 포함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안)을 상정하고 논의를 거쳐 확정·발표했다. 이에 따라 부산·울산(본원)과 경주(중수로해체기술원)에 2021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원전해체연구소 건립이 추진된다. 

아직 원전해체가 본격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체시장 확대에 대비해 생태계 창출 및 산업역량 확충이 필요하다고 보고 본격적인 원전해체 개시 전인 2022년까지 해체물량 조기발주, 상용화 연구개발(R&D) 등 민·관 합동으로 대규모 선제 투자도 추진한다.

특히 원전기업이 해체분야로 사업을 전환해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생태계기반, 인력, 금융 등 종합지원을 강화한다. 울산에 있는 에너지융합 일반산업단지, 부산의 방사선의과학 산단처럼 원전기업 집적지도 만들기로 했다. 

기존 원전 인력을 해체수요에 맞게 단계적으로 전환을 유도하는 등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에너지혁신성장 펀드 조성 등을 통한 금융지원 확대도 병행한다. 

해체실적(Track-record)이 중요시되는 해체시장 특성상, 고리 1호기 실적을 토대로 3단계에 걸친 단계적 전략을 통해 해외 진출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3단계 과정은 고리 1호기 해체 진도에 맞춰 △해외 해체원전 단위사업 수주(2020년대 중반) △원전 운영 경험이 부족한 제3국에 선진국과 공동진출(2020년대 후반) △제3국 단독진출(2030년대 이후) 등이다. 

안전한 원전 해체관리를 위한 전문기업 확인제도 운영 등의 제도적 근거를 신설하고 안전기준 명문화·해체 세부기준 마련 등도 추진하는 한편 원전해체로 발생하는 폐기물 등에 대한 대국민 정보공개도 확대한다.

산업부는 이 같은 정책과제를 추진해 2030년대 중반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 10% 달성과 원전해체시장 세계 5위 수준까지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국내 원전은 2030년까지 11기가 설계수명이 만료될 예정으로 해체시장 규모는 22조5000억원을 웃돈다. 세계 원전은 총 453기로 이중 170기가 영구정지 상태로 전체 해체시장 규모는 55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원전해체연구소를 해체산업 육성의 구심점으로 활용해 원전기업 일감을 창출하고 원전 주변지역의 경제활력 제고도 지원하겠다”며 “국내원전의 안전한 해체뿐만 아니라 글로벌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해 시장을 선점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송정훈 전문기자 boxr@infostock.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