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펀드 살때 은행설명 녹음한 뒤 사실확인 싸인 받자!
'고위험' 펀드 살때 은행설명 녹음한 뒤 사실확인 싸인 받자!
  • 한치호 금융경제 평론가
  • 승인 2020.07.20 11:30
  • 최종수정 2020.07.20 1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대부분의 금융사들의 경영 목표는 펀드 판매를 통한 수익 제고였다. 당시 은행이나 증권사를 가보면 '좌파 정권의 집권으로 성장이 멈췄다'는 판단 하에 주식투자가 아닌 대체투자를 열심히 홍보하며 판매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금융지주사들이 그들만의 왕국을 만든 상황에서 지주사 회장의 연임을 위한 수단으로 수익의 극대화를 목표로 전력투구했던 사실이 있다. 지주사들이 이익을 많이 내기 위해서 가장 수수료가 높은 상품을 최우선적으로 팔기 시작 했던 것이다. 사실 수수료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위험하고 팔기 힘든 상품이라는 역설이 존재한다. 즉 트레이드오프(trade off) 관계다.

결국 시간이 지나가면 운좋게 지나갈 수도 있지만, 글로벌 환경의 급변이나 내부 통제 미비 혹은 내부 확인 부재에 따른 사기 등 결국 여러 가지 이유로 투자자들에게 큰 피해를 끼치는 상황이 다반사로 펼쳐지면서 정부의 사모펀드 전수 조사라는 상황까지 다다랐다.

부실 상품을 팔고 나중에 문제가 되면 금융사들은 버티기로 들어간다. 수년을 버티다 보면 담당자들이 다른자리로 가거나 퇴임한다. 특히 금융사 수장들은 위법성에 의해 금융감독원 징계가 나와도 법적 소송으로 가서 2~3년 끌다보면 퇴직할 수 있기에 금감원 지시도 무시하고 있다.

금융고객들은 이런 금융기관들이 신뢰를 바탕으로 영업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만약 금융기관에 오너가 있다면 차분히 회사의 신뢰를 쌓아가고 내부 역량을 강화하며 좋은 인재를 키울 것이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 금융기관 수장들은 주식을 가지고 있는 대주주가 아니기 때문에 현직에 있을 때 어떻게든 성과를 내서 자기들의 인센티브 많이 받으면 되는 환경이 돼 버렸다. 고객 분쟁은 최대한 끌면 된다는 식이다. 실제로 대체투자를 주도하던 이들은 수십억 인센티브를 받은 후 타회사로 이직을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재테크를 위해 대체투자를 하려는 투자자들은 최소한의 금융보호 받기 위해서 다음 3가지를 명심해야 한다. 첫째, 판매하는 직원들의 설명을 반드시 녹취해야 한다. 둘째, 점포의 점포장에게 판매직원의 설명이 사실이라는 서명을 받아야 한다. 셋째 만약 못 해주겠다고 한다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나와야 한다.

금융당국은 금융기관이 상품 판매 시 해당 상품의 위험을 가장 먼저 고지하는 것을 의무화해야한다. 또한 어떤 구간부터 손실을 보게 되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손익도를 반드시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법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한치호 중앙인터빌 상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