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카카오, 상생안 발표...여전히 '규제리스크'에 발목
[지속가능] 카카오, 상생안 발표...여전히 '규제리스크'에 발목
  • 박정도 전문기자
  • 승인 2021.09.18 12:34
  • 최종수정 2021.09.17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포스탁데일리=박정도 전문기자]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 환경, 사회공헌 등을 아우르는 지속가능경영 전반의 활동 및 성과, 목표 등을 소개하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인포스탁데일리는 기업 레퍼런스체크 연구소 '평판체크'와 공동으로 주요 기업들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살펴봄으로써 과거 목표 달성 현황과 향후 방향성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본다. [편집자 주]

카카오가 그동안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성장 속도를 키워왔지만, 최근 역풍을 강하게 맞고 있다. 플랫폼에 대한 규제리스크도 지속되며 주가 역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카카오는 정치권 규제와 여론의 비판이 강화되자 사회적 책임 강화안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여전히 이슈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사진=카카오
사진=카카오

◇ 전방위 압박에 사회적 책임 강화안 발표

17일 카카오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발표한 사회적 책임 강화안에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3000억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 사회적 가치 창출 등을 담았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카카오와 모든 계열 회사들은 지난 10년간 추구해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우선 골목상권 상생 강화를 위해 기업 고객 대상 꽃·간식·샐러드 배달 중개 서비스를 철수하기로 했다. 

또 갑질 논란을 빚었던 스마트호출 서비스를 폐지하고 택시 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가격을 월 9만9000원에서 월 3만9000원으로 대폭 인하하기로 했다.

대리운전 기사 수수료도 기존 20% 고정 수수료에서 0~20%의 변동 수수료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가맹 택시 상생 협의회를 구성해 가맹 택시 사업자와 상생을 위해 적극 노력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카카오 공동체 차원에서 5년간 3000억원 규모의 파트너 상생 기금을 마련하기로 했다. 

향후 신사업 진출 시에는 IT 혁신과 이용자 후생을 더할 수 있는 영역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겠다는 뜻도 밝혔다. 

카카오 사회적 책임 강화안
카카오 사회적 책임 강화안

◇ 상생안에 '보여주기식 면피용' 평가 잇따라

카카오의 상생안 발표에 대해 관련 업계는 정치권과 여론의 공세에 떠밀려 나온 면피성 방안이라는 평가가 잇따른다. 

소상공인연합회는 "관련 단체와의 협의도 전혀 없었고, 구체적 내용도 결여된 이번 발표는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이라며 "몸통은 덮어둔 채 꼬리 자르기로 일관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큰 틀에서 골목상권 논란 사업들을 철수하겠다는 원칙을 밝혔지만 사업 철수가 구체화된 서비스는 카카오 모빌리티의 꽃, 간식, 샐러드 배달 중개서비스 중 일부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소상공인연합회는 "계열사만 6월 말 기준 158개에 달하는 거대 공룡 카카오는 대리운전, 헤어샵, 퀵서비스, 서점 등 골목상권을 전방위로 침탈하고 있다"며 "일부 사업을 접었다고 해서 골목상권 침탈 야욕을 포기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민주택시노조,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이 소속된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은 성명서를 내고 "이번 사회적 책임 강화 방안은 단순히 여론 무마용이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프로멤버십을 폐지하지 않고 단지 가격 인하에 그친 것은 여전히 돈 받고 줄 세우기식 불공정배차가 계속될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전국대리운전노조도 별도의 입장문을 내고 "카카오모빌리티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면 기존 업체들과의 상생과 더불어 20만에 달하는 대리운전노동자들의 생존권과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카카오의 상생 방안에 따라 카카오는 수익모델 조정으로 신사업의 수익화 일정이 다소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번 방안 발표에도 비난 여론이 끊이지 않아 추가적인 규제리스크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삼성증권은 "핵심 서비스를 중심으로 밸류체인 전체로 빠르게 사업 영역을 확대해가던 기존의 사업 전략도 속도 조절이 불가피하다"며 "그럼에도 여전히 이슈는 남아 있는 만큼 규제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박정도 전문기자 newface0301@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