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반도체 박막 증착' 공정 실시간으로 분석
세계 최초 '반도체 박막 증착' 공정 실시간으로 분석
  • 이동희 기자
  • 승인 2019.09.16 14:25
  • 최종수정 2019.09.16 14: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허훈 박사 연구팀 개발…"소재·장비 국산화 기여"
(사진=한국생산기술연구원)
허훈 박사 연구팀이 반도체 박막 증착 실시간 분석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사진=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포스탁데일리=이동희 기자]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반도체 박막 증착 공정을 바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16일 고온에너지그룹 허훈 박사 연구팀이 화학기상증착 장비 내부에서 웨이퍼 위에 박막이 형성되는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측정·분석할 수 있는 ‘화학증착소재 실시간 증착막 측정 시스템’을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박막 증착 공정은 실리콘 웨이퍼(Wafer) 위에 얇은 층 형태의 박막을 단계적으로 겹겹이 쌓아가는 핵심공정으로 박막은 반도체 회로 간의 구분과 연결·보호 역할을 담당한다.

박막을 최대한 얇고 균일하게 형성할수록 반도체 품질이 향상 되는데, 박막의 두께가 1㎛(나노미터) 이하로 매우 얇아 박막 형성 상태를 수시로 측정하고 확인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기존에는 박막이 제대로 증착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해당 장비에서 박막을 꺼낸 뒤 별도의 분석기기로 검사해야 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박막이 대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나 수분과 접촉하면서 변질돼 분석결과의 신뢰성이 훼손될 수 있고 박막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원인 규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생기원 고온에너지시스템그룹 허훈 박사 연구팀은 화학기상증착 장비 내부에 박막 소재의 증착 과정을 측정·분석할 수 있는 In-situ(용기 안) 라만 분광(Raman spectroscopy) 장치를 설치해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냈다. 

이 장치는 단색광을 기체 또는 투명한 액체·고체에 쬐면 산란광 속에 파장이 약간 다른 빛이 생기는 라만 효과를 기반으로 한다. 라만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특수한 빛의 배열인 ‘라만 스펙트럼’을 활용하면, 장비 내부에서 바로 박막 소재의 농도나 결정구조, 결정성 등 다양한 물성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또 화학 증착에 필요한 화합물과 반응가스, 박막 성장 온도나 시간 등 여러 변수를 측정·분석해 공정도 최적화할 수 있다.

연구팀은 여기서 더 나아가 박막 물성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유전율(Permittivity)을 유추할 수 있는 분석기법도 개발했다. 유전율이란 전기장을 가했을 때 전기적 성질을 띤 분자들이 정렬하면서 물체가 전기를 띠는 현상이 발생하는 정도를 말한다.

유전율을 분석하면 고집적화와 고속화 구현에 유리한 저유전율 특성을 지닌 반도체 물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구축한 시스템을 통해 저 유전율 반도체 물질을 증착시켜 그 과정과 처리조건에 따른 물성변화를 라만 스펙트럼으로 실시간 분석하는 데 성공, 신규 박막 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

허훈 박사 연구팀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기존 Ex-situ 박막 분석 방식의 한계를 국내 기술력으로 극복해낸 사례인 만큼 관련 소재·장비 국산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반도체뿐만 아니라 OLED 소재, 2차전지 또는 태양전지용 전극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도 활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개발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주관한 ‘창의형 융합연구사업’ 과제를 통해 3년 만에 낸 성과로, 생기원은 올 6월 시스템 개발을 완료해 현재 반도체 소재 기업들과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동희 기자 nice1220@infostock.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