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CT 빅5 기업가치, 미국의 15분의1…삼성만 글로벌 시총 톱100 순위권
한국 ICT 빅5 기업가치, 미국의 15분의1…삼성만 글로벌 시총 톱100 순위권
  • 조건호 기자
  • 승인 2020.08.10 12:47
  • 최종수정 2020.08.10 12: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전자 사초사옥 전경.
삼성전자 사초사옥 전경.

[인포스탁데일리=조건호 기자]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상위 5개사의 기업가치가 미국과 중국 기업 대비 각각 15분의 1, 4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기준 글로벌 100대 ICT 기업에는 삼성전자만 11위에 이름을 올려 시장 지분율이 단 1%에 그쳤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 10년 동안 한국과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 증시 시총 상위 5개 ICT 기업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3개국 증시 상위 5개 ICT 기업의 시총 합계에서 국가별 기업가치 차이는 극명했다. 지난 4일 종가 기준 미국은 애플·MS·아마존·알파벳·페이스북 등 5개 기업의 시총이 약 8092조4000억원이었다. 이는 우리 정부의 올해 본예산(512조원)의 16배 규모다.

알리바바·텐센트·핑안보험·메이퇀 디엔핑·징둥닷컴을 앞세운 중국은 2211조400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국내 톱5 ICT 기업(삼성전자·SK하이닉스·네이버·LG화학·카카오)의 시총 합계는 약 530조원으로 미국의 15분의 1, 중국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인터넷 포털 및 전자 상거래 기업 간 격차가 컸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2개사의 시총은 약 83조원으로 중국의 징둥닷컴 1개사의 시총(120조원)에도 크게 못 미쳤다. 전경련은 해외 매출 비중이 네이버는 30%대, 카카오는 공식 통계가 없는 실정이라며 미국과 중국 경쟁사에 비해 글로벌 영향력이 미미해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느린 것으로 분석했다. 애플과 알파벳의 해외 매출 비중은 각각 60%, 54% 수준이다.

글로벌 시총 상위 100대 ICT 기업으로 넓혀 보면 'ICT 강국'이라는 한국의 위상은 더욱 초라하다. 먼저 가장 많은 기업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으로, 애플·넷플릭스·테슬라 등 54개사에 달했다. 중국은 알리바바를 포함한 12개사, 일본과 유럽의 경우는 11개사, 10개사가 순위에 들었다. 인도가 릴라이언스 등 3개사로 100대 순위에 이름을 올린 반면 한국은 삼성전자만 11위에 랭크됐다.

주요 ICT 기업의 시총 증가 속도 역시 한국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지난 10년 동안 미국 5개사 시총 합계의 연평균 증가율은 29.4%, 중국은 70.4%를 기록한 반면 한국은 카카오의 폭발적인 성장(63.1%)에도 불구 연평균 23.4%에 그쳤다. 다른 국내 기업의 시총은 연평균 7~18%대 성장률을 보였다.

전경련은 국내 ICT 기업의 시총이 코로나19 국면을 맞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시장 전체를 아우르는 본격적인 디지털 산업으로의 재편은 미국과 중국 등에 비해 미흡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미국의 경우 10년 전만 해도 석유회사 엑손모빌이 독보적인 시총 1위 기업이었지만 2012년 애플이 자리를 꿰찬 이래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유통 서비스 분야에서는 아마존(39.6%)과 월마트(7.1%)의 10년 동안 연평균 시총 증가세가 뚜렷한 차이를 보일 만큼 ICT 기업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지난 4일 기준 미국 증시 톱10 기업 중 5개사가 IT 및 디지털 관련 기업이다. 10년 만에 2개사에서 5개사로 늘어 포트폴리오 재편에 성공했다는 게 전경련의 분석이다.

전경련은 기존 제조업과 IT 분야 간 융합은 향후 글로벌 경쟁에서 반드시 풀어내야 하는 숙제라며 MS·테슬라 등 기존 산업에서 디지털 혁신과 융합에 성공한 모델을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례로 자동차를 디지털 디바이스 개념으로 개발하면서 패러다임을 전환한 테슬라는 지난 10년 동안 시총 연평균 증가율 64.3%를 기록해 글로벌 10위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같은 기간 세계 1위 도요타의 시총 증가율은 4.5%에 불과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제조업 중심의 한국 경제가 디지털 이코노미로의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지만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는 주요국에 비해 속도가 느린 것이 사실"이라며 "IT 강국 코리아가 글로벌 디지털 경제에서 그 위상을 이어가려면 디지털 혁신과 기존 산업과의 결합을 위한 창의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건호 기자 claud_alzhs@infostok.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